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예상수령액 확인하고 싶다면
우리 모두는 성인이 되면서 국민연금을 납부하게 됩니다. 급여명세서에 매달 국민연금으로 공제된 항목을 보게 될 때면, 현재까지 국민연금을 얼마나 냈는지, 계속 납부를 하는 것이 옳은지에 대해 고민해본 적도 있습니다.
이렇게 납부하고 있는 국민연금은 과연 몇 세에 수령할 수 있는지, 얼마를 받게 되는지도 궁금해집니다.
가끔씩 국민연금에서 보내주는 우편물을 보게 될 때면, '아 이렇구나~.' 하지만, 정작 그 이후로는 기억이 잘 나질 않습니다. 보관해둔 우편물은 어딜 갔는지도 모르겠고, 국민연금에 전화를 걸어서 일일이 메모하자니 매우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지요.
오늘은 그래서 내가 납부한 국민연금 납부액을 조회하는 방법과 수령 예상 연령 및 예상수령액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간단하게 보는 국민연금 기본 상식
1) 국민연금 납부기간
만 18세 이상~60세 미만, 최소 가입기간 10년
국민연금은 만 18세 이상~60세 미만까지 납부하게 되어있으며, 최소 가입기간 10년을 채우게 되면 본인의 수급 연령이 되었을 때,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국민연금 수급 개시연령
만 60세부터 65세까지 : 세대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 연령은 사회의 고령화 추세에 따라 조금씩 늦춰지고 있습니다.
1952년생 이전까지는 만 60세부터 수령하였으며, 1957~1960년생은 62세부터, 1961~1964는 63세부터, 1965~1968년생은 64세부터이며 1969년생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수령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1998년 말 법 개정)
3) 국민연금 수령액 기준
본인의 가입기간 + 가입 중 평균 소득액 +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액이 기초가 됩니다.
4) 국민연금 급여 구성 항목
노령연금 / 장애연금 / 유족연금
- 노령연금 : 노령으로 인한 근로소득 상실 보전
- 장애연금 :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한 장기근로능력 상실에 따른 소득 보전
- 유족연금 : 주소득자의 사망에 따른 소득상실 보전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및 예상수령액 확인방법
(준비물 : 공인인증서 또는 본인 명의 휴대폰 본인인증)
1) 검색창에 국민연금공단을 검색해서 접속합니다.
2) 메뉴에 있는 <전자민원>에서 <개인 민원> 항목을 클릭합니다.
3) 여러 개의 상자 중에서 <가입내역 조회>를 클릭합니다.
참고) 가입내역 조회는 본인인증이 필요하므로 아래와 같은 알림 창이 뜨고, 확인 버튼을 눌러 본인인증을 페이지로 이동해야 합니다.
4) <개인서비스>를 클릭해주세요.
5) 보라색으로 바뀐 칸에서 첫 번째 항목 <조회>를 누릅니다.
5) 인증서 입력창에서 둘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공인인증서 로그인 또는 카카오페이 로그인)
참고) 카카오페이 로그인 인증은, 카카오페이 가입 시 설정했던 인증 비밀번호를 통해 카카오톡에서 인증 처리를 할 수 있어서 수월했습니다.
공인인증서가 만료되었거나, 준비되지 않았을 때에는 카카오페이 로그인을 통해 본인인증을 진행할 수 있어서 미리 가입 해두길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카카오페이 로그인 선택 시 휴대폰 카카오톡을 통해 국민연금공단이 보낸 메시지의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가입 시 설정했던 인증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저는 이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깜박해서, 분실 버튼을 누르고 다시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인증을 완료했습니다.
확인하기를 누르고 다시 국민연금공단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6) 국민연금 가입내역 조회 화면을 확인한다.
제일 상단에는 총 납부내역이 나와있으며, 아래로 상세내역 및 예상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일 아래 보시면 출력도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프린터기가 연결되어 있다면 출력해서 보실 수도 있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예상수령액 확인하고 싶다면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화 계좌 개설 비대면으로 하는 법 (기업은행 모바일 어플) (1) | 2021.01.28 |
---|---|
2021 연봉 실수령액 변동사항 알아보기(연봉실수령액표) (0) | 2021.01.27 |
퇴직연금 or 일시금? 퇴직금 계산방법은 퇴직금 계산기로! (0) | 2021.01.21 |
<KCP 결제내역·이니시스 결제내역> 조회방법 A to Z (0) | 2020.11.17 |
<2021 청년내일채움공제> 변경사항/지원금액/중도해지/재가입 총정리 (0) | 2020.11.14 |
홈택스<연말정산 미리보기> 소득공제 확대 항목 안내 (0) | 2020.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