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 가능한지 확인해봤습니다.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 가능한지 확인해봤습니다.

by ○●◎●○ 2023. 6. 27.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 가능한지 확인해봤습니다.

인감증명서 발급
인감증명서 발급

인감도장은 개인의 도장을 국가 기관에 신고한 도장을 뜻합니다. 주민센터에 신고한 도장은 '개인인감'이라 하고, 등기소에 신고한 도장은 '법인인감'이라고 합니다. 신고 사실 증명을 위해 발급하는 서류를 인감증명서라고 합니다. 인감은 한 사람당 1개씩 신고가 가능합니다. 오늘은 인감에 대한 간단한 정보 요약 및 인감증명서 발급 여부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인감도장이란?

인감도장은 1인 1개 신고가 가능하며, 인감도장으로 사용하는 도장의 재질과 규격이 정해져 있습니다. 도장의 크기는 가로, 세로가 7mm~30mm 이내여야 하며, 변하기 쉬운 재질이면 안되고, 마모되거나 훼손되지 않은 상태여야만 합니다. 

 

인감증명서란?

인감증명서는 기관에서 인감도장과 인감증명서를 대조하여 동일인인지 확인하는 자료입니다. 인감 증명서는 집이나 건물을 거래하는 부동산 거래에 흔히 요구되는 문서입니다. 인감증명서는 공증받은 문서이기 때문에 문서 만으로 법적 효력이 있는 서류입니다.

 

인감증명서 발급

일반적으로 주민등록 등초본이나 가족관계증명서 등의 문서는 온라인 사이트인 정부 24에서 본인인증 후 다운 및 출력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인감증명서는 법적 효력이 있는 문서이기 때문에 인터넷 발급은 불가능합니다. 인감증명서 발급을 위해서는 주민센터를 방문해야만 합니다. 주민센터에서 인감증명서를 발급하기 위해서는 인감도장은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본인 신분증을 증명하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1가지는 필수로 소지해야만 합니다. 발급 시에는 대면창구를 통해 신분증 및 서류 확인을 거쳐야 합니다. 인감증명서 무인발급기 이용을 불가능합니다. 인감증명서 유효기간은 부동산 거래 시 보통 3개월 미만이니 참고 바랍니다.

 

인감증명서 발급 비용 및 발급 기관

인감증명서는 방문 발급 시 수수료가 600원입니다. 보통 본인 확인은 신분증 외에도 지문 확인을 같이 하며, 발급 수수료는 카드결제도 가능합니다. 발급 기관은 동주민센터 운영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까지이며, 점심시간은 12시~1시이므로 대기시간까지 감안해서 운영시간 내에 여유 있게 방문해서 발급받는 것이 좋습니다.

 

인감증명서 대리발급

인감증명서 대리발급은 대리자의 신분증 및 발급자의 신분증과 인감도장, 위임장을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위임장 양식은 따로 만들 필요 없이 주민센터에 비치된 서류를 이용하면 됩니다. 대리 발급 수수료는 기존 발급 비용과 동일하게 600원으로 같습니다.

 

인감증명서 대신 본인서명사실확인서

인감도장의 위, 변조 및 분실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인감증명서를 대체하는 서류입니다. 본인서명사실확인서는 당사자가 기관을 방문하여 서명을 했다는 것을 기관이 증명해 주는 서류이며, 본인서명사실확인서가 인감증명서와 동일한 효력을 가집니다. 본인서명사실확인서는 필적 감정이 되는 서류입니다. 그래서 주민센터 발급 시 위임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온라인 발급이 가능합니다. 인터넷 발급 시에는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이용신청 후 승인받고 발급이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