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반응형 135 UX, UI 레이아웃 가이드라인에 대하여 UX, UI 레이아웃 가이드라인에 대하여 UX, UI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레이아웃은 들어가는 콘텐츠의 성격과 기능에 대한 부분이 검토된 뒤에 진행하는 것이 좋다. 콘텐츠를 기획하는 시점에서부터 각 요소들의 존재 이유와 역할,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나 감성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를 기반으로 기본 골조를 설계한 뒤, 어떻게 작업을 할 것인지 다음 단계에 진입하여 생각해보는 것이 좋다. 콘텐츠가 '게임'이라면 흥미 위주의 내용이 주가 될 것이고, 교육이 목적이라면 온라인 교육 영상과 문자로 구성된 e-book 등이 주 콘텐츠가 되는 것이다. Web과 App은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나눠 구성할 수도 있다. 보통 PC로 구현되는 Web의 경우에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면서도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2020. 9. 24. Web & App의 레이아웃 설계 요소 Web과 App의 레이아웃 설계 요소 UX, UI에서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요소는 다양하다. 1. 글자 2. 이미지 3. 동영상 4. 도표&그래프 5. 인터랙티브 등 글자 텍스트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레이아웃 구성시 텍스트는 블록으로 영역을 구성한다. 분량에 따라 이 영역은 확장에 대한 가능성을 염두하고 준비하는 것이 좋다. 확장을 대비하지 않는다면 영역은 넘쳐나는 문자로 부족하거나 텅 비어서 남아버리는 느낌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웹이나 앱에서는 이러한 공간에 대한 해결책을 보편적으로 2~3가지를 활용한다. 한 가지는 다른 페이지를 띄우는 하이퍼링크이고, 다른 한 가지는 띄워진 화면에서 영역을 추가해서 볼 수 있는 팝업창. 또 다른 한 가지는 스크롤 활용 방식이다. 이러한 공간 연결, 확장 방식은 .. 2020. 9. 23. Web & App 그리드 시스템 가이드 Web과 App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때에는 규격화된 그리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 가지의 레이아웃을 기준으로 서너 가지에서 수십 가지의 화면이 구성되기 때문이다. 기본 레이아웃을 구성하기 전, 그리드 시스템의 기본 형태를 이해해야 한다. 화면, 즉 스크린으로 송출되는 콘텐츠는 종이처럼 정적인 공간과는 다르다. 화면을 이동할 수 있는 스크롤이 기본으로 갖춰진 공간이라 동적이다. 멀리 이동할 수 있고, 넓게 확장시킬 수 있는 동적인 공간은 콘텐츠를 배치하는 레이아웃을 구성할 때, 사용자의 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점이 매우 다양하다. 사용자 환경을 고려해야 하는 기본사항 사용자의 모니터 해상도 사용자의 모니터 비율 컨텐츠 요즘의 그리드 타입은 세로형 디자인이 주를 이루고 있다. 화면 해상도에 맞.. 2020. 9. 21. 이전 1 ··· 31 32 33 34 다음